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c형2

퇴직연금 디폴트옵션(Default option, 사전지정운용제도) 의미와 목적 퇴직연금을 운용하는 데 있어 '디폴트옵션'이란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 특히 `23년 7월을 전후로 금융회사로부터 디폴트옵션에 대한 안내가 계속되고 있는데요, 이 디폴트옵션이란 것이 무엇이고 왜 시작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디폴트옵션의 의미 디폴트옵션이란 퇴직연금 가입자에게 사전에 적립금의 운용 방법을 선택하도록 한 후 일정 기간 동안 가입자가 별도의 운용 지시를 하지 않으면 가입자가 사전에 선택한 방법으로 자동으로 퇴직연금을 운용하는 제도입니다. '디폴트'라는게 보통 '기본값'을 의미하는데요, 여기서는 퇴직연금 운용방법의 기본값을 설정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퇴직연금계좌에 쌓여가는 적립금의 운용방법의 미리 정해놓으면 본인이 직접 매매하지 하지 않아도 사전에 설정된 운용방법에 따라 자동으로 상품의 매매가 .. 2023. 11. 14.
퇴직연금 -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 자세히 알아보기 퇴직연금제도는 퇴직 시점의 급여가 얼마인가에 따라 연금 수령액이 정해지는 확정급여형(DB)과 적립된 기금의 운용 성과에 따라 연금 수령액이 달라지는 확정기여형(DC)이 있습니다. 이 두 방식은 회사에서 받을 퇴직금을 연금으로 받는다는 것은 같은데 연금 수령 전까지 쌓여지는 적립금을 누가 어떻게 운용하는가에 따라 구분이 됩니다. DB형은 회사가 운용하고 DC는 근로자가 직접 운용하게 됩니다. DB형은 말 그대로 정해진 금액만큼을 연금으로 받는 것인데요, 퇴직금을 연금으로 받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즉 DB형의 연금총액은 퇴직금 계산식과 같이 '근로자가 퇴직하는 시점의 평균임금 30일분 x 재직연수'가 됩니다. 여기서 1일분 평균임금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1일 평균임금 = 퇴직일 이전 3월간의 임금총.. 2023. 11. 13.
반응형